제대로 키우려면, 우유 먹이지 마라
아이 키 때문에 한의원을 찾는 부모들에게, 우유를 먹이지 말라고 하면 대부분 당혹스러워한다. ‘칼슘의 보고(寶庫)’, ‘완전식품’인 우유를 먹이지 말라니? 그러잖아도 입이 짧은 아이한테 영양 덩어리인 우유까지 먹이지 말라고 하면, 진료 자체를 반신반의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그만큼 우유에 대한 신화는 위대하다. 하지만, 우유에 대한 약간의 의심과 궁금증만 가진다면, 그 신화는 쉽게 깰 수 있다.
우유를 먹이지 말아야 할 이유는 많지만, 성장 치료를 하다 보면, 그 이유를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우유는 사람을 위한 음식이 아니라, 소를 위한 음식이다. 송아지는 생후 47일 만에 체중이 2배가 되고 1년 만에 120kg으로 체중이 늘어난다. 우유는 이렇게 급속 성장을 하는 송아지에게 알맞은 영양 성분이 들어 있다. 성장 채널이 다른 인간과 소가 같은 음식을 먹는다는 것 자체가 한의학적으로는 맞지 않는다.
성장기의 아이들이 우유를 먹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동물성 단백질 때문이다. 육류나 우유 등의 동물성 단백질은 성호르몬의 원료가 되는데, 성호르몬과 성장호르몬은 반비례한다. 성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사춘기가 빨라질수록 성장호르몬 분비는 적어진다.
실제로 육류와 우유를 많이 먹는 아이를 검사해보면, 골 연령이 높은 경우가 많다. 골 연령이 높다는 것은 성장이 일찍 끝난다는 의미. 흔히 우유를 먹으면 쑥쑥 큰다고 생각하는데, 성장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세포 분화가 빨리 이루어지고 결국 노화가 일찍 진행된다는 것이니, 그리 좋아할 일은 아니다. 가장 이상적인 성장 패턴은 늦은 나이에 시작해서 천천히, 끝까지 크는 것이다.
게다가 요즘은 젖소를 사육할 때 하루라도 빨리 젖을 짜내기 위해서 성장촉진제를 쓰고, 더 많은 젖이 나오게 하려고 인공 여성호르몬제를 사용한다고 한다. 이런 인공 호르몬은 우유 속에 그대로 녹아들어, 우리 아이들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우유 대신 두유를 먹여라
그러면 우유 대신 무엇을 먹이면 좋을까? 성장기 아이들의 키와 두뇌에 꼭 필요한 단백질은 어디에서 얻어야 할까? 성장 치료를 시작한 아이들에게 필수로 권하는 음식은 바로 두유이다. 콩은 양질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고, 쇠고기에 비해 함유량도 2배나 되며, 질 좋은 지방산과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을 갖고 있다. 시중에서 파는 유기농 두유도 좋고, 집에서 만든 콩 국물도 좋다. 유아나 저학년 아이라면 하루에 200cc, 고학년 이상은 400cc 이상 마시도록 권한다.
만약 두유를 싫어하는 아이라면, 엄마가 조금 더 세심한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 우리 집 아이들의 경우 아침마다 두유에 콩미숫가루(인절미에 쓰는 콩가루), 볶은 참깨, 잣, 호두, 볶은 땅콩을 1티스푼씩 넣어서 갈아 먹이는데, 고소하고 맛있다며 훨씬 잘 먹는다. 잣과 호두, 볶은 땅콩은 미리 갈아 냉동 보관해두면 편리하다. 아이의 식성에 따라, 또 형편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면 되고, 설탕이나 꿀은 넣지 않는 것이 칼슘 섭취에 더 도움이 된다.
만약 두유를 너무 싫어하거나 우유에 길들여져 있는 아이라면, 산양유를 먹여볼 것을 조심스럽게 권한다. 산양유도 동물성 단백질이긴 하지만, 산양은 성장 패턴이 사람과 비슷하고, 아직은 대량생산되지 않으며, 방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유보다는 훨씬 낫기 때문이다.
우유 속에 든 우수한 영양소를 절대 포기할 수 없다는 사람도 있는데, 사실 우유 속의 영양소는 보통 야채와 곡식 속에도 풍부하게 들어 있다. 같은 무게를 기준으로 할 때 말린 고구마 줄기에는 우유의 10배가 넘는 칼슘이 들어 있고, 말린 토란대는 6배, 무말랭이는 2배, 들깻잎은 1.5배, 냉이는 1.2배 등등 야채에는 칼슘과 철분이 우유보다 훨씬 많이 들어 있다. 칼슘의 왕이라고 하는 멸치 외에 푸른 잎채소, 호박, 당근, 연근, 우엉에도 좋은 칼슘이 많이 들어 있다. 또 야채 중에는 뼈 조직을 만드는 데 필요한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C 같은 영양분도 함께 들어 있으니 절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우유를 먹이지 말아야 할 이유
1 우유 속에는 화학성분이 들어 있다
젖소는 여러 가지 첨가물이 든 사료를 먹으며, 좁은 공간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사육된다. 우유에 화학약품과 다이옥신류의 환경호르몬이 농축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 까다로운 미국 FDA에서조차 소에게서 우유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84가지의 화학약품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2 우유는 칼슘을 몸에서 빠져나가게 한다
우유나 유제품의 칼슘은 우리 몸에서 30% 정도밖에 흡수되지 않고, 칼슘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우리 몸은 신장에서 빨리 배출하려고 애를 쓰게 된다. 이때 뼈에 있는 칼슘도 분해되어 함께 유출된다. 커피, 설탕, 육류, 인스턴트식품 등을 많이 먹어도 뼈에 있는 칼슘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간다.
3 우유는 완전식품이 아니다
흔히 우유는 완전식품이라고 알고 있지만, 구리와 철분이 부족해 우유만 먹을 경우 오히려 빈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동양인의 80% 정도는 유아기를 지나면 유당분해효소가 거의 퇴화해서 대부분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하고 설사를 하게 된다. 또 우유의 성질은 차기 때문에 자주 먹을 경우에는 신진대사율을 떨어뜨리고 장 내에 지방을 축적하게 한다.
4 우유는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우유나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신장 기능 저하는 물론 몸의 산성화로 오히려 칼슘이 빠져나가게 만든다. 우유 속에 함유된 49%의 지방은 아이들을 성인병의 위험에 빠뜨린다. 우유는 당뇨나 알레르기와도 연관이 깊다.
김혜남 박사- 아름다운 P&S 한의원 키 성장센터 원장.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 올바른 먹을거리,키 키우는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연재한다
'환경 호르몬'에 해당되는 글 6건
- 2008.06.15 키 크는 음식? 우유에 대한 논란
- 2008.05.12 소고기, 소고기, 소고기.....
- 2007.08.10 아기 젖병 재질
- 2007.08.06 Bisphenol-A 관련 최근 리뷰
- 2007.08.06 Bisphenol A Is Released from Used Polycarbonate Animal Cages into Water at Room Temperature
- 2007.08.06 Increased migration levels of bisphenol A from polycarbonate baby bottles after dishwashing, boiling and brushing
소고기, 소고기, 소고기.....
안전할 것으로 추측되는 재질
1. Polyphenylene sulfone (PPSU)
Polyphenylene sulfide (PPS) 를 산화시켜서 만든 물질로서, 내열성이나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Polyphenylene sulfide는
요렇게 생겼고, 이걸 산화해서 만든 PPSU는 위의 S가 SO2로 바뀐 것이다.
2. Polypropylene 또는 Polyethylene 등의 폴리올레핀
불에 타지 않는 이상 화학적 안정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3. 유리병
인터넷에 보다보면 유리병도 안좋은걸 많이 방출한다고 하는데, 내 상식으로 그런 말이 어떻게 해서 나왔는지 모르겠다. 대부분의 정교한 화학실험은 유리용기에서 하고, 유리는 구조적으로 아주 안정해서 안좋은 무언가(?)를 내뿜을 것도 없다.
내 상식이 틀렸다면 어쩔수 없지만, 현존하는 모든 젖병 재질로서 이보다 화학적 안정성이 높은 것은 없다고 본다. 좀 무겁고 깨지기 쉽다는 단점은 있지만 환경호르몬 방출 제로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4. 실리콘
제조사 측에서는 아주 안전하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생겼는지도 파악이 안되고, 화학적 안정성에 대해서 아직 찾아보지는 못했다. 다만 예전 같이 실험했던 동기들 말로는 실리콘이 시간이 갈수록 자꾸 분해되어서 실험하기 어렵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 말이 사실이라면 이 재료도 안전성과는 거리가 멀 것이다.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재질
1.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줄여서 PC)
생긴 모양은 아래와 같이 생겼다.
육각형 있고 십자형으로 생긴게 흔히 말하는 bisphenol A이고, 근간에 그렇게 문제가 되는 물질이다. 이 재료는 화학적 안정성이 높지 않기로 잘 알려진 물질이고 이 재료의 화학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재료 제조사측에서 괘나 많은 연구를 하기도 한다.
최근 결과는 잘 모르지만, 어쨌든 유통되는 대부분의 PC 재질의 물병, 젖병, 락앤락 등의 용기는 100% bisphenol A를 내뿜고 있다고 보면 된다.
2. PET
젖병으로 사용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물병으로는 괘나 많이 사용된다. 역시 이 재료도 시간이 지날수록 분해가 되면서 독성물질을 많이 내뿜는다.
3. Polyphenylene ether sulfone
PPSU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착각이다. 합성방법이 완전히 상이하고, 들어가는 물질도 틀리다. 이 재료에는 앞서의 bisphenol A가 사용되고,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기에서 bisphenol A가 방출될 수도 있다. 앞에 찾아놓은 논문을 봐도 이 재질의 용기에서 bisphenol A가 방출되었다고 나오는 것을 보면 화학적 안정성은 그다지 좋지 않은가 보다.
시간이 없어서 눈에 보이는 내용만 정리했습니다.
관심있는 분은 아래의 리뷰를 꼼꼼히 더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요약
Bisphenol A와 유전자 변형과의 상관관계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보고되어 왔다. 미량을 실험용 쥐에 노출시켰을때 전립선과 유방암을 유발하였고, 비만증, 활동과다증, 당뇨, 면역체계 질환, 정자수 감소, 생식 연령의 단축 등에 관련된 많은 질환을 유발하였다.
특히 bisphenol A와 같은 환경호르몬은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에게 위험성이 보다 높다. 이는 아이들의 경우 환경호르몬에 대한 민감성이 어른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에 같은 양의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어도 질환 발병율은 훨씬 높게 나타난다. 성장기 아이들은 계속해서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들이 성장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더욱 높은 반면, 긴 시간이 흐른 후에야 관련 질환이 나타나기 때문에 특히 bisphenol A 함유 플라스틱으로부터 아이를 보호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위의 쥐 실험결과와 동일하게 인간에게도 동일한 질환이 나타났다는 것을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내고 있으며, 참고로 polycarbonate 재질의 젖병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품은 아래와 같으며, 여기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젖병 뒷면을 잘 보면 재질이 나와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Avent의 natural feeding bottle
Evenflo의 classic
Dr. Brown's의 natrual flow
Gerber의 premium feeding system
Playtex의 ventaire
2. 그러면 어떤 재질의 플라스틱이 좋을까?
+ PVC-free라고 나와있는 플라스틱을 사용할것: PVC에는 통상 프탈레이트계 화합물이 가소제로 많이 사용되는데, 이 프탈레이트 화합물이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다.
+ 나무 소재의 장난감을 사용할 것
+ polycarbonate, PVC계 음식 용기를 피할 것
+ 금속 캔에 든 음식을 피할것: 불행하게도 금속 캔의 접합부에서도 bisphenol A가 나올수 있다.
+ 재활용 마크가 새겨진 플라스틱중 #1, #2, #5를 사용할 것(그런데 우리나라에도 이런게 있는지 잘 모르겠음)
+ 유리 젖병을 사용할 것: 유리 젖병이 위험하다고 하지만 요즘 유리젖병은 잘 깨지지도 않고 안전하다. 위험하다고 하는 얘기는 대부분 플라스틱 회사에서 하는 얘기들이다.
+ 플라스틱으로 포장된 음식을 피할것: 대체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들어있을수 있어서 역시 아기에게 위험하다.
Bisphenol A Is Released from Used Polycarbonate Animal Cages into Water at Room Temperature
Kembra L. Howdeshell et al.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 111, 2003
Abstract
Bisphenol A (BPA) is a monomer with estrogenic activity that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food packaging, dental sealants, polycarbonate plastic, and many other products. The monomer has previously been reported to hydrolyze and leach from these products under high heat and alkaline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leaching increases as a function of use. We examined whether new and used polycarbonate animal cages passively release bioactive levels of BPA into water at room temperature and neutral pH. Purified water was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in new polycarbonate and polysulfone cages and used (discolored) polycarbonate cages, as well as control (glass and used polypropylene) containers. The resulting water samples were characteriz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tested for estrogenic activity using a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assay. Significant estrogenic activity, identifiable as BPA by GC/MS (up to 310 [micro]g/L), was released from used polycarbonate animal cages. Detectable levels of BPA were released from new polycarbonate cages (up to 0.3 [micro]g/L) as well as new polysulfone cages (1.5 [micro]g/L), whereas no BPA was detected in water incubated in glass and used polypropylene cages. Finally, BPA exposure as a result of being housed in used polycarbonate cages produced a 16% increase in uterine weight in prepubertal female mice relative to females housed in used polypropylene cag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suggest that laboratory animals maintained in polycarbonate and polysulfone cages are exposed to BPA via leaching, with exposure reaching the highest levels in old cages.
Key words: animal caging, bisphenol A, endocrine disruptor, estrogen, leaching, polycarbonate, polysulfone.
요약하자면,
가혹조건에서 실험하지 않고, 중성 pH와 상온에서의 증류수에서 polycarbonate 재질의 cage를 두었을때 0.3 ug/l 만큼의 bisphenol-A가 방출되었다는 이야기. 즉 polycarbonate는 상온에서도 꾸준히(?) 환경호르몬을 내뿜고 있다는 뜻이다.
그에 반해 유리와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cage는 전혀 방출하지 않았다. 당연한 말이다.
아기 젖병을 비롯해서 우리 주변에 polycarbonate 재질의 많은 물병이 유통되고 있지만, 이런 플라스틱에서 지속적으로 독성 환경호르몬이 방출되고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잘 모른다. 추측컨데 대부분의 플라스틱 용기가 이러한 안전성 면에서 자유롭지 않을 것이다.
Increased migration levels of bisphenol A from polycarbonate baby bottles after dishwashing, boiling and brushing
C. Brede et al.,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20(7), July 2003 , pages 684 - 689
Abstract
Baby bottles are often made of polycarbonate plastic. Impurities remaining in the bottle from the monomer bisphenol A can migrate from the plastic bottles into baby food, thereby causing a health concern. Previous migration testing of new baby bottles showed only trace migration levels of the substance. In the present work, polycarbonate baby bottles were subjected to simulated use by dishwashing, boiling and brushing. Migration testing performed with both new and used bottle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igration of bisphenol A due to use. This finding might be explained by polymer degradation. Bisphenol A was determined in 200-ml samples of water food simulant by a method based on solid-phase extraction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The detection limit was 0.1 g l-1. Twelve different polycarbonate baby bottles were tested by filling them with hot water (100°C) for 1 h. The mean bisphenol A level from new bottles was 0.23 + -0.12 g l-1, while the mean levels from bottles subjected to simulated use were 8.4 + -4 g l-1 (dishwashed 51 times) and 6.7 + -4 g l-1 (dishwashed 169 times), respectively. None of the bottles released bisphenol A at levels that exceed the recently established provisional tolerable daily intake (0.01 mg kg-1 body weight/day) in the European Union.
Keywords: Bisphenol A; Polycarbonate; Baby Bottles; Migration; Water; Solid-phase Extraction;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쉽게 설명하자면,
아기 젖병은 강도, 투명성 등을 고려해서 polycarbonate 소재를 많이 사용하는데, 폴리카보네이트는 bisphenol-A라는 단량체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런데 아기 젖병을 100도 정도로 가열해서 소독하다보면 폴리카보네이트가 분해가 되면서 bisphenol-A를 아주 미량씩 방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 물질은 사실 상당히 위험한 독성물질인데, 환경호르몬이라고 부르는 물질이 바로 이 물질이다.
실험하는 애들이 여러가지 조건으로 실험을 해봤는데, 새 젖병은 그래도 조금 나왔는데, 좀 사용한 젖병은 30-40배 정도 더 많이 나왔다는 말이다. 그래도 이건 유럽이 정한 허용치보다 낮다. 한번 계산해 보면, 아기 몸무게가 5킬로라면, 1일 허용치는 0.05mg 이하의 bisphenol-A라는 말이다.
그러나 분유만 먹는 아기의 경우 하루에 1번만 플라스틱 젖병을 사용하는게 아니라 적어도 6번 이상은 사용할 것이고, 체내 대사와 축적되는 정도는 잘 모르기때문에 아기에게 어떤 부작용을 줄지는 아무도 모른다.
특히 젖병 살 돈이 아까와 한번 사서 매일같이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 polycarbonate의 분해는 더 가속화되면서 bisphenol-A의 방출량은 더 늘어날 것이 자명하고, 이 경우 아기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 심각할 것이다.